티스토리 뷰
개인 프리랜서나 사업체를 운영하는 경우 세무사를 한번 쯤 생각하게 되는데요. 잘못된 세무사를 선택하게 되면 나중에 세금 문제나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해야 합니다. 오늘은 좋은 세무사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세무사의 역할
먼저 세무사가 하는 일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면 세무사는 세금 신고를 도와줄 뿐만 아니라 절세 방법과 세무와 관련된 문제를 상담해주는 전문가입니다. 사업체를 운영하다 보면 연말정산, 부가가치세 신고, 법인세 신고 등 복잡한 세금 신고를 처리해야 하는데 이런 부분을 도와준다고 보면 되는데요.
추가적으로 상속세와 증여세를 줄이는 방법까지 알려주기 때문에 좋은 세무사는 단순히 서류만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법의 테투리 안에서 최적의 재무 관리 방안도 제시를 해준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세무사 선택 시 꼭 확인해야 하는 요소
소통이 원활해야 합니다.
아무리 뛰어난 세무사라도 소통이 잘 되지 않으면 큰 도움이 되지 않을 수가 있습니다. 어려운 세법 용어 보다는 내가 잘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말로 설명을 해주는 지 체크를 해보세요.
그리고 전화나 메일 등으로 연락이 잘 되는 지도 중요합니다. 세금 문제는 긴급하게 처리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통 잘 되고 연락이 잘 되는 세무사를 선택해야 합니다.
전문 분야를 확인해야 합니다.
세무사가 모든 분야를 잘 아는 것은 아닙니다. 세무사도 각자 자신있는 분야가 있기 때문에 자신의 상황에 맞는 세무사를 선택해야 하는데요. 이런 부분들은 상담을 통해 확인을 해야 합니다.
양도세, 증여세, 상속세 등에 대해서 처리를 원한다면 경험이 많은 세무사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합리적인 수수료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너무 저렴한 세무사 사무실은 주의를 해야 합니다. 저렴한 수수료를 내세우는 곳은 서비스의 품질이 낮거나 꼼꼼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수수료가 투명하고 어느정도 합리적인 비용을 제시하는 세무사는 일처리도 꼼꼼하게 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너무 저렴한 곳보다는 어떤 업무에 얼마나 비용이 드는지 명확하게 설명을 해주는 세무사 사무실을 선택하세요.
납부 기한까지 챙겨주는 세무사
기본적인 세금 신고 뿐만 아니라 납부 기한까지 꼼꼼하게 챙겨주는 세무사 사무실을 선택해야 합니다. 요즘은 기본적으로 챙겨주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런 부분들을 놓치는 경우 가산세가 붙기 때문에 납부 기한을 챙겨주는 세무사는 정말 좋습니다.
세무사가 상주하는 사무실
세무사 사무실에 가게 되면 세무사는 없고 직원들만 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직원들만 일하게 되면 나중에 복잡한 문제가 생겼을 때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가능성이 높습니다.
세무사 사무실에 세무사가 자주 상주하고 중요한 업무는 직접 관여하는지 확인해보세요.
좋은 세무사 고르는 방법
주변 추천받기
가장 쉬운 방법은 주변 사업체를 운영하시는 분들에게 추천을 받는 것입니다. 실제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추천을 하게 되면 신뢰도도 올라가게 되고 실패할 확률이 줄어들게 됩니다.
상담하기
세무사를 고르기 전에 상담은 필수로 받아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세무사 사무실에서 얼마나 친절하고 꼼꼼하게 설명을 해주는 지 직접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평판 확인하기
지역의 경우 맘카페 등을 통해 평판을 확인할 수가 있으며 블로그를 운영하는 경우 댓글이나 내용들을 살펴보고 결정을 할 수도 있습니다.
세무사를 선택 이후에도 중요한 것들
세무사를 선택했다고 해서 모든 것을 다 맡기면 안됩니다.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필요한 부분은 추가로 상담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세무사가 설명하는 내용들이 어렵다면 다시 물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하며
좋은 세무사를 선택하는 일은 어렵습니다. 저도 여러번 세무사를 바꿔 봤는데 가장 중요한 점은 결국 소통이라 생각이 되며 내가 원하는 내용을 잘 확인해서 상담을 받아 보시기를 바랍니다.
'일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로 세로 구분, 이것만 알면 외우기 쉬워요 (0) | 2025.01.16 |
---|---|
주민등록증 발급일자 조회 2분이면 가능! 정부24 (0) | 2025.01.14 |
CU 재고 조회 확인하는 방법! 이제 포켓 앱에서만 확인 가능 (0) | 2025.01.08 |